티스토리 뷰
신입사원으로 들어갔을 때, 저희 팀에 바로 위에 2명의 선배가 있었는데
한 선배는 엄청 갈구고, 또 다른 선배는 달래주고...그 당시에는 미치고 환장하는줄 알았습니다.
그런데, 나중에 시간이 한참 지나고 선배들과 친해져서 술먹는 자리에서 이야기해주기를, 팀장님이 그렇게 시켰다고 합니다.
허허허~
나중에 들어보니 그것을 굿캅, 배드캅이라고 해서 신문, 수사에 많이 사용되는 심리기법이라고 하더라구요.
그래서 그러한 심리기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합니다.
🧠 심리로 수사한다?
요즘 형사들이 쓰는 ‘신문 심리기법’의 세계
영화나 드라마에서 형사가 범인을 심문할 때, 어떤 장면이 떠오르시나요?
“말 안 해도 돼. 이미 다 알고 있어.”
혹은 “우린 너 도와주고 싶어. 솔직하게 말해보자.”
그 모든 건 단순한 대사가 아닙니다.
바로 **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‘신문 전략’**이에요.
오늘은 실제 수사현장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심리 기법 7가지를 디테일하고 트렌디하게 풀어봅니다.
1. 🎭 굿캅 배드캅 (Good Cop, Bad Cop)
가장 클래식하면서도 여전히 효과적인 전략.
- 굿캅은 다정하게 접근하며 “우린 너를 돕고 싶어.”
- 배드캅은 위협적으로 다가가 “말 안 하면 지금 당장 체포야.”
심문 대상자는 굿캅에게 마음을 열게 되고, 결국 자백하거나 협조하게 되죠.
📌 요즘에는 지나친 역할극이 들킬 수 있어서, 소프트 굿캅-하드 팩트 전략으로 변형되는 추세예요.
2. 🔁 미러링 (Mirroring)
상대의 말투, 자세, 단어 선택을 은근히 따라하는 기법.
- “저 지금 너무 혼란스러워요.”
- → “혼란스럽겠네요. 그럴 수 있어요.”
이렇게 따라주면, 무의식적으로 친밀감을 느끼고 방어벽이 무너지기 시작합니다.
📌 FBI 협상술에서도 자주 쓰이는 ‘소프트 파워’ 전략이에요.
3. 🧩 이중 바인드 (Double Bind)
겉보기에는 선택권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,
사실상 자백을 전제로 한 질문을 던집니다.
“혼자서 그랬어, 아니면 친구랑 같이 했어?”
이미 ‘했다’는 전제를 깔고 들어가는 심리적 덫이죠.
상대는 자기도 모르게 인정하는 방향으로 대답하게 됩니다.
4. ⏳ 시간 압박 (Time Pressure)
- “지금 말 안 하면 기회 없어.”
- “다른 친구는 벌써 다 털었어.”
이렇게 의사결정을 급하게 몰아넣는 전술도 자주 쓰입니다.
사람은 불안하고 초조할 때, 이성보다 감정에 의지하게 되기 때문이죠.
📌 특히 젊거나 감정 조절이 약한 피의자에게 효과적입니다.
5. 🧾 가짜 증거 제시 (False Evidence Ploy)
없는 증거를 있는 것처럼 말하는 수사 기법.
- “CCTV에 네 모습 다 찍혔어.”
- “네 지문 나왔어.”
상대방이 ‘이제 다 들켰구나’라고 느끼게 만드는 심리전이에요.
하지만 이 기법은 무고한 자백 유도 가능성 때문에 요즘엔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어요.
📌 일부 국가에서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기도 합니다.
6. 📉 침묵 전략 (Strategic Silence)
심문 중 갑자기 조용해지면,
사람은 무언의 압박을 느끼고 침묵을 채우려는 심리가 작동해요.
이때 갑자기 스스로 말문을 트며 결정적인 진술을 할 수 있죠.
이 전략은 말보다 ‘타이밍’이 핵심입니다.
📌 요즘 젊은 세대에게는 오히려 침묵이 더 큰 스트레스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재조명되고 있어요.
7. 🤝 라포 형성 전략 (Rapport-Based Approach)
최근 가장 트렌디하고 윤리적인 심문 방식입니다.
- 상대를 이해하려 노력하고
- 공감하며
- 편안한 대화를 유도하는 방식.
과거처럼 밀어붙이기보다, 관계 중심의 신문 전략으로 바뀌는 흐름이에요.
특히 장기 사건, 테러 용의자 조사, 해외 수사 협조에서 효율성과 지속성이 높음으로 평가됩니다.

✨ 마무리: 심문도 ‘심리학의 기술’
현대 수사에서 심문은 더 이상 협박이나 압박의 영역이 아닙니다.
심리학, 비언어 커뮤니케이션, 감정 조절 능력이 총동원되는 ‘기술’이에요.
수사관이든, 협상 전문가든, 심지어 일상 속 인간관계에서도
이런 전략을 이해하면 상대의 마음을 읽는 눈이 생깁니다.
'MANAGEMENT > 심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심리] 🔍 "생선 눈이 나를 쳐다본 날" — 나도 몰랐던 트라우마 이야기 (0) | 2025.04.06 |
---|---|
[법칙시리즈] 🔢 벤포드의 법칙: “세상의 숫자들은 1을 더 좋아한다?!” (1) | 2025.03.23 |
[법칙시리즈] 🧠 자이거닉 효과: "끝내지 못한 일이 머릿속을 점령한다!" (0) | 2025.03.21 |
[법칙시리즈] 🍀 리틀우드의 법칙: “기적은 생각보다 자주 일어난다?” (0) | 2025.03.21 |
[법칙시리즈] 🔩 스타전스키의 법칙: “작은 부품은 항상 가장 찾기 어려운 곳으로 굴러간다” (0) | 2025.03.21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직장인공감
- 볼링잡학
- 서울산책
- 야구용품추천
- 원정볼링
- 야구장비추천
- 야구장비
- 융심리학
- 야구보호장비
- 눈치의기술
- 야구배트
- 자기이해
- 워킹화
- 운동화관리
- 볼링장비
- 프로볼링
- 러닝화추천
- 심리학블로그
- 야구팬
- 볼링
- 야구분석
- 캡슐볼링
- 일잘러되는법
- 회사생활꿀팁
- 신입사원생존툴킷
- 미즈노
- KBO리그
- 신발청소
- 성격유형
- 야구글러브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